-
호흡기 질환의 대표적인 감기는 바이러스로 인한 코와 목구멍 근처에 염증이 생기는 병입니다.
감기는 추운 겨울보다 봄과 가을에 많이 발생합니다. 환절기의 기후와 일교차로 인하여 아이들의 몸이 잘 적응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또 따뜻한 날씨에 감기 바이러스의 활동이 왕성해지면서 4월~7월과 9월~12월까지 감기가 가장 기승을 부리는 때입니다.
아기들은 엄마로부터 면역성을 받아 태어나기 때문에 생후 6개월까지는 감기에 잘 걸리지 않습니다. 6개월 이후부터는 면역성이 떨어지면서 감기에 잘 걸리기 시작합니다.
만약 6개월 미만인 아기가 감기에 걸렸다면, 가벼운 증상이다가도 갑자기 나빠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의사에게 진찰을 받아보는 게 좋겠습니다.
감기에 걸려서 열이 나는 경우,
열이 많이 나면 아이가 힘들어하고 열성경기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해열제를 먹여 우선 열을 떨어뜨려 주는 것이 좋습니다. (해열제 사용 시 사용설명서 필독! - 연령에 따라 혹은 몸무게 따라 사용 용량 상이하니 설명서를 꼭 먼저 읽으시길 바랍니다.) 열이 계속해서 난다면 옷을 미지근한 물로 적힌 수건으로 온몸을 가볍게 문질러주면서 닦아주면 열을 발산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열이 나는 아이를 이불로 씌우면 열이 더 올라가 열성 경련 및 땀으로 인한 탈진이 되기 쉬우니 이불을 덮어씌우지 마시기 바랍니다.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
생후 6개월 미만일 때, 열이 39도 이상일 때, 경련을 일으킬 때, 전에 경련을 일으킨 경우가 있을 시에는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고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기의 치료,
감기 증상이 보인다면 일단 병원에서 의사의 진료를 받아보는 게 좋습니다. 감기 같아 보이는 증상이 실제로는 단순한 감기가 아닌 다른 질병의 증상일 수 있기 때문에 아이가 감기에 걸린 것 같으면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단순 감기의 경우, 충분한 휴식이 가장 중요합니다.
감기에 걸린 아이들은 식욕이 떨어지는데 아플 때는 억지로 이것저것 먹이기 보다는 수분만 충분히 섭취하면 별 문제없습니다.
감기 예방,
손만 잘 씻어도 감기를 예방 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손발을 자주 씻기고, 양치 및 얼굴을 잘 씻겨주는 것이 감기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예방 수칙을 지켜서 아이가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만약 감기 증상이 보인다면, 일단 병원에서 의사의 진료를 받고 충분한 상담을 한 뒤 적절한 치료 및 관리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